셧다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알파헌터 작성일2018-01-21 15:04 조회840회 댓글4건관련링크
본문
지난주에도 뉴욕증시는 묻지마 상승이 계속되고 채권금리는 서서히지만 확실하게 상승했으며 달러의 약세는 계속되었다.
금요일 시장에서는 예산안 통과에 대해서 낙관적이었지만 상원에서는 50대49로 법안 통과에 필요한 60의석에 턱없이 부족한 가운데 부결 토요일 0시를 시작으로 공식적인 정부 업무의 일시적 폐쇄가 결정되었다.
현재 공화 민주 양원간 협의는 중단되었고 미국시간 일요일 오후 1시 (한국시간 월요일 오후 3시)에 법안에 대한 투표를 재개한다고 하는데 여기서 법안이 통과되면 주말에 한시적인 셧다운으로 문제가 봉합이 되는 것이며 만일 통과가 되지 않으면 혼란이 계속되는 것.
전망
*셧다운 영향
이민법과 멕시코 국경에 장벽 건축비 등을 놓고 감정 싸움 비슷하게 흐르고 있고 당초 공화당 표에도 이탈자가 나오고 있어 민주당 표가 최소 9석 필요한 가운데 간단하게 통과하기 어려워 보이는 상황임.
일단 일요일 투표 시간이 이미 한국시장 마감에 임박한 시간이므로 월요일 코스피는 불확실성 속에 마감할 것이고 당장 미선물 역시 월요일 아침에는 마이너스 출발이 예상되므로 월요일 한국시장에는 네거티브한 영향이 있을 것이다.
과거 여러번 셧다운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2013년 오바마 정권 당시 오바마케어에 공화당이 어깃장을 놓으면서 발생한 것이 있지만 그전에는 1995년 클린튼 정권으로 거슬러 올라갈 만큼 옛날 이야기임.
다음 표처럼 증시 성적의 평균치를 보면 -0.6%였는데 이건 셧다운 기간에 따라서도 전혀 다르며 증시의 등락이 셧다운 때문인지도 확실치 않다. 일단 최근의 기록을 보면 2013년 16일이라는 비교적 긴 기간의 셧다운이었는데 증시는 +3.1%였다.

그러나 셧다운 기간 동안 증시가 플러스였나 마이너스였나 하는 단순한 맥락에서 보기 보다는 그 이전의 시장 흐름을 같이 생각해야 하는데 2013년에는 셧다운 이전에 이미 전운이 감돌고 시장에서는 셧다운을 우려하면서 주가가 내려갔다는 것이다. 그 후 사건이 터지면서 초장에는 하락 지속 그후에 반등이 일어난 것이다. (전반적인 시장은 상승 추세)



23일에는 1월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지수가 나온다. 프록터앤갬블과 존슨앤존슨, 버라이즌의 실적도 공개된다.
24일에는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은 총재가 연설하고 모기지은행협회(MBA) 주간 모기지 신청건수와 11월 연방주택금융청(FHFA) 주택가격지수, 1월 마킷 제조업 PMI(예비치), 1월 마킷 서비스업 PMI(예비치), 12월 기존주택판매, 에너지정보청(EIA) 주간 원유재고가 발표된다. 제너럴 일렉트릭(GE)과 포드의 실적도 발표된다.
25일에는 주간 신규실업보험 청구자수와 12월 상품수지, 12월 신규주택판매, 12월 콘퍼런스보드 경기선행지수, 1월 캔자스시티 연은 제조업활동지수가 나온다. 캐터필러와 스타벅스, 인텔, 아메리칸 항공도 실적을 공개한다.
26일에는 12월 내구재수주와 4분기 GDP(예비치)가 발표될 예정이다.






댓글목록
알파헌터님의 댓글
알파헌터 작성일
작성자 Hamilton () 2018-01-21 17:11 조회3회 댓글0건
이전글다음글수정삭제목록답변글쓰기
중국관련 인덱스들이 엄청 오르던데(FTSE china A가 10%, 홍콩이 12%, 대만 6%, 베트남 7%) 이쪽은 달러약세에 힘입은 성과일까요?
알파헌터님의 댓글
알파헌터 작성일7월 세법개정안에 따르면 외국인투자자에 대한 대주주 요건을 강화해 양도소득세를 더 물리겠다고 하는데 코스피에 끼치는 영향이 클까요? (MSCI는 성명까지 냈네요.)
알파헌터님의 댓글
알파헌터 작성일
대만은 기술주 비중이 높아서 한국이랑 비슷한 흐름이고 베트남도 중국이랑은 무관하죠?
중국주식은 요즘 좋은데 엉터리 GDP에 안심하고 질르면 될터이나 본 사이트는 아주 옛날부터 중국에는 투자하지 않도록 계몽중인데 그래서 중국 펀더멘탈이 파급되지 않는 한 관심도 없고 그래서 취급하지 않습니다.
알파헌터님의 댓글
알파헌터 작성일
한국 증시에 투자하는 대부분의 국가들은 한국과 조세조약이 체결중이라 한국의 세법에 영향받지 않습니다.
실질적으로 한국증시에 투자하고 있는 나라를 보면 미국이 50% 이상이고 유럽 등 인데 이들 국가들 대부분이 조세조약 체결중이라 아무 영향이 없습니다.
한국 정부는 그러므로 뭐라고 했는지 몰라도 세법 바꿔도 세수는 증가하지 않습니다.
그냥 병신같은 소리했는데 msci가 그냥 넘어가도 되는데 시비를 걸었군요.
개인적으로 아주 좋은 일이라고 보구요.
기재부 내부의 좀 병신같은 새끼들이 조용해지는 계기가 될 걸로 봅니다.
실익도 없는데 병신같은 소리 늘어놓으며 국익을 훼손하는 ㅆㅅㄲ들이 많아요. 의외로.